요즘 AI(인공지능)는 특정 전문가들만의 영역이 아닙니다.
이제는 마케팅, 인사, 영업, 프로젝트 관리, 헬스케어까지 모든 분야에서 AI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특히 신입이라면, 기본적인 AI 기술을 갖추는 것만으로도 이력서에서 확실히 ‘눈에 띌’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,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AI 기술은 무엇이 있을까요?
지금부터 AI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도 당장 배워볼 수 있는 6가지 핵심 기술을 소개합니다.
1. AI와 머신러닝의 기본 이해
AI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어요. 하지만 ‘AI가 어떻게 작동하는지’, ‘머신러닝은 무엇인지’에 대한 개념은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.
왜 중요한가요?
- 회사에서 AI를 언급할 때 대화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.
- AI의 윤리 문제(편향, 개인정보 보호 등)를 인식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.
어떻게 배울 수 있나요?
2. AI 도구 사용 능력
많은 기업에서는 이미 ChatGPT, Google Gemini, Claude, Microsoft Azure AI 등 다양한 AI 도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.
왜 중요한가요?
- 간단한 업무 자동화, 데이터 시각화, 고객 응대 등에 큰 도움을 줍니다.
- 비기술직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요.
실습 팁
- 무료 버전 도구로 실습해보기
-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튜토리얼 따라하기
3. 데이터 리터러시 (Data Literacy)
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. 데이터를 읽고, 해석하고, 활용하는 능력은 AI 시대의 기본 소양이에요.
실무에서 어떻게 쓰이나요?
- 마케팅 → 고객 행동 분석
- 인사 → 인재 평가 데이터 해석
- 운영 → 업무 효율 분석
어떻게 배울 수 있나요?
- Excel로 데이터 정리하는 연습
- SQL 기초 학습
- Python의 Pandas, NumPy 사용법 익히기
4. 프로그래밍 기초
AI와 관련된 코딩은 주로 Python이나 R을 기반으로 합니다.
물론 꼭 프로그래머처럼 잘할 필요는 없어요. 간단한 스크립트만 알아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요.
어떻게 도움이 되나요?
- 반복 업무 자동화 가능
- 기술 팀과 원활한 협업
- 포트폴리오에 ‘기술 역량’ 추가 가능
추천 학습 플랫폼
5. 문제 해결력 & 비판적 사고
AI 도구는 많은 걸 해주지만, 의미를 해석하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건 결국 사람의 역할이에요.
예시 상황
- AI 분석 결과의 이상치 발견 → 직접 확인하고 개선
- 고객의 행동 패턴 예측 → 데이터 해석 후 전략 제안
실습 방법
- 케이스 스터디 분석
- 문제 해결형 온라인 게임 (ex. Brain It On, Elevate)
6. AI 윤리에 대한 이해
AI는 강력한 도구지만, 그만큼 사회적 영향도 큽니다.
AI를 쓸 줄 아는 것 못지않게, ‘어떻게 쓰는 게 올바른가’도 중요하죠.
어떤 걸 알아야 하나요?
- 알고리즘 편향
- 개인정보 보호 이슈
- 투명성과 책임성
학습 방법
- 관련 TED 영상 시청
- ‘AI 윤리’를 다룬 팟캐스트나 책 읽기
신입 이력서에 AI 기술을 녹이는 팁
- 기술 섹션에 명시: "Python 기초", "AI 도구(ChatGPT, Canva AI) 사용 경험" 등 구체적으로 작성
- 작은 프로젝트도 포트폴리오화: 예) “소셜 미디어 분석을 위한 Tableau 시각화 프로젝트”
- 직무 맞춤 강조: 마케팅 지원이면 → “SNS 참여도 분석 시 AI 기반 툴 활용”
AI 기술, 누구나 시작할 수 있습니다
AI는 더 이상 데이터 과학자나 프로그래머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.
AI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활용 능력만으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어요.
작게 시작하세요. 한 번의 튜토리얼, 하나의 도구, 하나의 실습 프로젝트부터.
일의 미래는 이미 AI로 움직이고 있습니다.
'경기도일자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봉 협상을 위한 7단계 전략 (0) | 2025.04.06 |
---|---|
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24가지 면접 질문과 답변 (0) | 2025.04.04 |
상황 기반 면접 질문, 이렇게 대답하면 합격입니다! (0) | 2025.04.03 |
역량 기반 면접 질문 답변 전략 (0) | 2025.04.02 |
취업 기회 손해평가사 전망 (0) | 2025.03.12 |
댓글